반응형
월광(月光)
원작: 오유권 소설 ‘월광(月光)’(사상계 1959.12)
각색: 공노사노 김병한
등장인물
진노인
며느리
큰아이(9)
작은아이(7)
양서방(양봉수)
아들(진이두): 진노인의 아들
대화 중에 나오는 인물
없음
주요 등장인물 성격
진노인: 읍내 다리목에서 지물상을 하다가 육이오 때 폭격으로 집과 재산을 날린 60대 노년. 아들 이두가 인공에 협조하다 입산해서, 사곡동을 거쳐 소반마루까지 옮겨왔다. 며느리와 직접 지은 작은 움집에서 손주 둘과 며느리와 함께 산다.
며느리: 남편 입산으로 혼자 아이 둘과 시아버지를 건사하면 사는 30대 여인. 도붓장수를 하면서 어렵게 살림을 하는데 장에서 만난 양서방을 좋아하게 된다.
양서방: 오일장을 돌면서 체장사를 하는 장똘뱅이. 그는 장사도 하지만 손재주가 있어 키도 만들고 솔도 만든다. 그는 장을 돌다 진노인의 며느리를 만나 서로 좋아하게 된다.
때
1955년 경
장소
소반바우골이 바라다 보이는 보리밭 옆 움집과 귀뚝굴네
# 막이 열림
소반바우골 뒷산 보리밭 가에 비바람에 모지라진 움집이 한 가호 있다. 부엌도 울타리도 없는 방 한 칸의 움집이다. 갈대로 듬성듬성 엮은 지붕에는 잡초가 군데군데 돋쳐 있고 벌레 먹은 참나무들이 들어선 집 오른편에는 휘휘한 산기슭이 뻗혀 있다. 왼편 보리밭을 격한 대송나무 저편에는 소반바우골이 차가운 달빛 속에 희부옇게 떠 보였다. 이 방 한 칸의 움집에서 머리가 센 노인과 젊은 여인이 두 아이를 데리고 산다. 뺏센 눈썹 밑에 두 눈이 푸르스름하고 기골이 장대한 백발 노인은 시아버지요 허리가 가늘고 코 운두가 높은 일견 애동대동해 보이는 젊은 여자는 며느리였다. 그리고 두 아이는며느리의 소생이었다. 진노인은 지난 난리통에 아들과 집을 잃고 이와 같이 거지 모양으로 사는 것이다. 진노인은 깡통을 들고 다니는 것은 아니나, 구걸하며 지내고, 며느리는 도붓장사를 하러 오일장을 다닌다. 새우, 멸치, 미역, 생강 등속을 광주리에 이고 송정리, 광주는 물론 담양, 곡성까지 가서 이틀, 사흘을 묵고 오는 때가 많다.
& 진노인 집
허옇게 센 상투머리의 진노인이 수건을 고깔처럼 둘러쓰고 전대를 어깨에 걸친 다음 지팡이를 옆에 세운채 마루에 앉아 있다. 무대 오른쪽에서 며느리가 아이들을 혼내고 있다.
며느리
이 썩을 놈아, 뒷산에 가서 나무 좀 쳐다 노란께 먼 지랄을 했냐.
오늘도 도부를 치고 저물어서야 돌아온 며느리가 저녁을 지으려는데 나무가 없다. 삶에 터덕거리는 며느리는 화풀이를 애들에게 한다. 며느리의 화 내는 소리에 진노인은 말없이 마루에서 일어나 낫 하나에 바랑을 걸치고 뒷산으로 가기 위해 나선다. 그 사이 다시 며느리가 아이들을 닥달한다.
며느리
썩을 놈의 시상, 오늘이라도 칵 죽어버렸으면… 이런 꼴 저런 꼴 좀 안 보게.
손주 중에 아홉살 배기 사내놈이 할아버지를 따라 나간다. 일곱살 배기 여자 아이는 엄머 옆에서 눈치를 보고 있다.
며느리(딸을 향해)
느그들은 낮에 뭐했냐. 이 애미는 곡성으로 담양으로 댕기면서 보따리 장사를 하는디…
여자 아이
오빠하고 비석치기 했는디…
며느리
비석치기가 밥 믹여주더냐. 그 시간에 솔방울이라도 모아오제.
여자 아이(주눅 들려)
…
그 사이 진노인과 남자 아이가 돌아온다. 진노인 바랑에는 불소씨개 나뭇가지가 들어있다. 남자아이는 솔가지 두 개를 각 손에 들고 들어온다.
진노인
아가, 니가 고생이 많다.
며느리(외면하며)
아니라우, 아버님 진지상을 올릴라고 본께, 불 필 나무 하나 없단께요. 큰소리 내서 미안하구만이라우.
진노인은 원래 읍내에서 지물상을 했었다. 육이오 동란이 일어난 다음다음 해의 어느 늦은 봄날에 유엔군 폭격으로 집과 재산을 온통 날리고 이곳으로 옮겼다. 그리고 먹고 살기 위해 구걸을 하면서 끼니를 때웠다. 한때 제법 살았던 처지라 챙피해서 아는 지역은 피해서 다녔다. 며느리가 역정을 낸다한들 탓할 수도 없다. 아들놈이 인공에 협조하다 입산을 했던 것이다. 아들놈이 인공 때 주변 사람들에게 못할 짓을 저질러서 그 일을 아는 사람들은 진노인을 보면 한 소리씩 해대는 것이다.
진노인은 저녁을 준비하는 며느리와 아이들을 두고 읍내로 빠지는 길 옆 등성이로 간다.
무대: 어두워진다.
& 읍내길 / 등성이
진노인은 곰방대에 담배를 채워 입에 문다. 그리고 생각에 잠긴다. 그러다가 피식 웃는다. 며느리가 밤에 오줌동이에 오줌을 눌 때 그 소리를 생각한 것이다.
진노인(혼잣말로)
이런 주변머리 없기는… (사이) 잠을 푹 자먼 그런 소리에 깨지 않을텐디… (사이… 다시 픽 웃으며) 그나 오짐 줄기 소리가 크기도 해. 근디 어제는 소피를 보고 뭣을 하는지 늦게 들어오든디… 요즘 달이 밝은께 제 남편 생각을 할까…
저녁에 소변을 보러 나가는 며느리 때문에 잠을 깨는 것이다. 게다가 오줌동이에 소변을 볼 때 나는 소리가 잠을 더욱 못 들게 하는 것이다. 진노인은 은근히 그 소리에 귀를 기울이게 된다. 그러면서 자신의 행동을 무안하게 생각하는 중이다.
진노인(떠오르는 달을 보며)
(혼잣말로)이두 그 자석도 저 달을 보고 있으까. 하긴 살아있기 어렵겄제. (일어서며 엉덩이를 턴다.)
진노인 집으로 돌아가기 위해 방향을 집 쪽으로 튼다. 그러다가 잠시 주춤한다. 소변을 보고 들어가야 된다는 생각을 한다. 미리 소변을 봐두면 저녁 잠을 더 깊이 들 수 있다는 생각이다.
진노인(혼잣말로)
소피를 보고 들어가자. 그먼 좀 낫겄지.
진노인 무대에서 사라지고, 소변 보는 소리가 들린다.(음향)
& 진노인 집 / 안방
방에는 며느리와 손주 둘이 자고 있다. 며느리는 울목에 벽을 보고 자고 있다. 옷은 입은채다. 아랫목은 진노인이 자도록 비워두고 그 사이에 손주 둘이 누워서 자고 있다. 소리나지 않게 진노인이 들어온다.
진노인(두리번 거리다가 혼잣말로)
불쌍한 것들…
진노인 자기 자리를 잡고 아랫목 벽을 향하고 잠을 청한다. 물론 옷은 입은채다. 며느리와 같이 한 방에서 살기 때문에 옷을 벗고 편히 잘 수가 없다.
진노인(혼잣말로)
저번 날에는 막걸리 한잔 걸치고 자다가 실수를 했는디, 조심해야제…
언젠가 마을을 돌다가 어떤 부잣집 환갑잔치에서 술을 거나하게 얻어먹고 왔었다. 취해서 옷까지 벗고 신세 한탄을 하다 잠이 들었다. 저녁에는 아랫목 자리를 잡고 잠이 들었으나 다음날 아침에 보니 자리가 바뀌어 있었다. 자신은 며느리가 있어야 할 웃목에 있고 며느리는 아랫목에서 웅크리고 있었다. 그 일이 있고부터는 진노인과 며느리 사이에는 어딘지 모를 벽이 생겼다. 진노인은 마음에 한사코 걸렸다.
달빛이 밝다. 작은 들창에 달이 비쳐 하얗게 빛난다. (음악: 베토벤의 월광)
며느리 소변을 보기 위해 일어난다. 진노인은 며느리 일어나는 소리에 잠을 깼지만 자는 척 하느라 꼼짝도 하지 않고 벽만 보고 있다. 며느리는 조용히 일어나 밖으로 나간다. 조금 후에 오줌동이에 소변을 보는 소리가 들린다. 음향(소변 보는 소리가 좀 크게 들린다.) 이어서 며느리 침뱉는 소리가 난다.
소리만
툇(침 뱉는 음향)
진노인(돌아 누우며)
…
한참이 지나도 며느리가 돌아오지 않는다.
진노인(혼잣말로)
어제도 그러드만. 오늘도 늦네. 달을 보고 따라올리도 없는디. 즈그 남편 생각이 간절한갑네. 하긴… 달빛이 밝긴 하더구만…
한참이 지나도 며느리는 돌아오지 않는다.
무대가 잠시 어두워졌다가 밝아진다. 진노인은 기다리다 못해 창가로 기어간다. 그리고 봉창에 난 구멍으로 밖을 내다본다. 밝은 달빛이 밖을 환하게 비추고 있다. 보리밭은 이삭에 달빛이 부딪혀 부서진다.
진노인(혼잣말로)
달 따라서 언덕배기까지 내려갔나…
진노인은 자기 자리로 돌아와 다시 잠을 청한다.
무대는 다시 어두워졌다가 밝아진다. 시간이 흘렀다. 며느리가 조심스럽게 방으로 들어온다. 진노인은 자는 척 꿈쩍도 안한다. 들어오는 며느리한테 분냄새가 난다. 며느리는 두 아이를 조금 아래로 밀쳐내고 자기 자리에 눕는다.
여자 아이
엄니, 어디 갔다 온가? 근디 무슨 분내가 나네.
며느리(묻는 여자 아이 입을 가리며)
쉿! 할아부지 주무신디…
네 식구 모두 조용히 잠을 청한다. 진노인은 잠이 오지 않으나 자는 척 하는 것이 고역이다. 침을 꿀꺽 삼킨다..
진노인(침을 삼키면서)
흐흠(헛 기침)
무대는 어두워지고 베토벤 월광이 배경으로 흐른다.
반응형
'시나리오와 희곡'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유권 원작, 월광(月光) 전체 (37) | 2024.10.02 |
---|---|
오유권 원작, 월광(月光) 제2막 (33) | 2024.10.01 |
오유권 원작, 돌방구네 전체 (30) | 2024.09.29 |
오유권 원작, 돌방구네 제2막 (29) | 2024.09.28 |
오유권 원작, 돌방구네 제1막 (31) | 2024.09.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