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시나리오와 희곡/역주행 시나리오

(24)
[등대독서회] 희곡 독회 방법 [등대독서회] 희곡 독회 요령『외출』이라는 희곡을 시니어 극단 '등대'에서 독회하는 좋은 방법은 다음과 같은 단계로 진행하시면 좋습니다.1. 사전 준비 단계배경 자료 요약 제공: 희곡 전체를 요약한 간단한 줄거리와 등장인물 소개, 주요 장면 요약을 A4 1장 분량으로 정리해 배포하세요.역할 분배표 마련: 등장인물 수만큼 참여 인원을 확보하고, 각 인물의 성격과 분량을 고려해 사전에 배역을 나누어 전달합니다. 같은 역할을 두 명이 번갈아 연기하도록 해도 좋습니다.2. 독회 운영 방식1막 또는 1장 단위로 나눔: 243~286쪽 분량이므로 약 40쪽 남짓한 분량입니다. 4회차(10쪽 단위)로 나눠 회차별로 천천히 읽는 것도 좋습니다.낭독 + 토론 형식:1차: 배역에 따라 낭독2차: 인물의 감정이나 상황에 대..
오유권 소설 희곡화 프로젝트 오유권 소설 희곡화 프로젝트1. 메타극 장치로서 ‘작가 오유권’의 활용작가 오유권을 등장인물로 내세웁니다. 이를 효과적으로 구현하려면 다음과 같은 요소들을 고려합니다. 1928년 생인 소설가 오유권이 백 년 만에 고향 무대에 등장하는 것입니다.‘작가’는 회상과 현재를 넘나드는 인물로 설정: 극 중 작가가 등장할 때는 과거의 장면과 현재 무대의 장면이 중첩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극 전체가 '기억 속 무대'임을 강조할 수 있습니다.관객과 직접 대화하는 '브레히트적 요소' 활용: 작가는 무대와 관객 사이를 잇는 해설자이자 조정자로 등장하면서 관객에게 직접 말도 걸고, 등장인물들의 행동을 평가하거나 훈수를 둘 수 있습니다. 관객에게 “이 장면은 어땠습니까?”라고 묻는 장면도 재미를 줄 수 있습니다.연출상으..
축제와 이벤트의 차이 축제와 이벤트의 차이축제와 이벤트는 겉보기에는 비슷해 보이지만, 성격과 목적, 구성 요소 면에서 분명한 차이가 있습니다. 다음은 그 차이를 핵심적으로 비교한 내용입니다.1. 정의와 개념축제(Festival)공동체의 전통, 역사, 문화, 신념, 계절적 변화 등을 기념하기 위해 열리는 반복적이고 주기적인 행사입니다. 특정 지역이나 공동체의 정체성을 드러내는 데 목적이 있습니다.예) 진주 남강유등축제, 보령 머드축제, 설날·추석 같은 전통 명절 행사이벤트(Event)특정 목적(홍보, 기념, 마케팅, 체험 등)을 달성하기 위해 단발성 또는 비정기적으로 기획되는 활동입니다. 기업, 기관, 단체 등이 주최하며, 목적 달성이 우선입니다.예) 신제품 발표회, 팬미팅, 기업 프로모션 행사, 시민 체험 프로그램2. 목적항..
공연 분야에서 "크리에이티브(Creative)" 공연 분야에서 "크리에이티브(Creative)"공연 분야에서 "크리에이티브(Creative)"란 용어는 일반적으로 공연의 창작과 예술적 방향성을 책임지는 주요 창작진 전체를 의미합니다. 즉, 하나의 공연이 무대에 오르기까지 창조적인 아이디어를 제공하고, 그 아이디어를 공연으로 구현하는 역할을 담당하는 사람들과 그들의 작업을 통틀어 "크리에이티브"라 부릅니다.공연 크리에이티브 구성 요소공연의 규모나 성격에 따라 다르지만, 보통 다음과 같은 창작자들이 포함됩니다:작가 (Playwright / Scriptwriter)공연의 대본을 쓰는 사람입니다. 이야기의 줄거리, 대사, 인물 구성을 만듭니다.연출가 (Director)작품 전체의 해석과 무대 구현을 책임집니다. 배우의 동선, 장면 구성, 무대 분위기 등을 조..
연극 '이역의 산장' 게임 시나리오 대본 이역의 산장 - 게임 시나리오 대본시나리오 구조에피소드 기반 3막 구성 + 선택지 분기제1막: 피난씬 1: 첫 만남 - 노인장소: 안채 마당 (저녁, 총소리 들리는 시점)설정: 플레이어는 '여인'으로 시작. 마당에서 태극기와 인공기를 번갈아 품에 넣다 꺼내며 고민한다.효과음: 총소리, 개 짖는 소리, 문 두드리는 소리노인 (소리만): "사람 살리소오…" 여인 (혼잣말): "오메, 이 목소리… 어찌할꼬… 지금은 인공기 보여야 하나… 태극기를 품어야 하나…" 선택지 1: 문을 연다 노인: "고맙소… 살았소이다…" 작가: "이제부터 복잡해지지. 이 여인, 동정 많다지만 목숨 하나 살리다 인생이 뒤틀릴 줄이야…" 무시한다 노인 (소리만): "에잇… 이 고얀 세상…" ..
연극 『이역의 산장』 게임 시나리오 개요 연극 『이역의 산장』 게임 시나리오 개요연극 『이역의 산장』을 바탕으로 구성한 게임 시나리오 개요입니다. 연극의 서사적 강점을 살리되, 플레이어의 선택과 분기 구조가 가능한 내러티브 어드벤처 게임(서바이벌 리얼리즘 RPG) 장르로 재구성하였습니다.■ 게임 기본 정보제목: 이역의 산장(오유권 원작, 공노사노 각색)장르: 서바이벌 내러티브 RPG(Role-Playing Game) / 멀티 엔딩 스토리 어드벤처플레이 방식: 1인칭 or 3인칭 시점, 다중 선택지, 분기형 스토리플랫폼: PC / 콘솔 / 모바일■ 세계관 설정배경: 6.25 전쟁 중인 1951~52년 남도 산골 (가상의 국사봉 일대)상황: 전쟁으로 폐허가 된 시골 마을. 인민군과 국군의 틈바구니, 산으로 들어간 좌익과 피난민들 사이의 갈등과 생존..
연극 『후사(後嗣)』 요약 정리 연극 『후사(後嗣)』 요약 정리『후사(後嗣)』는 한국전쟁 직후의 남도 시골 마을을 배경으로, 가문의 대를 이으려는 아버지와 전쟁 속에서 살아남으려는 가족들의 고단한 삶을 진중하게 그려낸 작품입니다. 원작은 오유권의 소설이며, 각색은 김병한이 맡았습니다.■ 배경과 시대1950년대 한국전쟁 중 수복된 남도의 H읍, 그리고 그 인근 불여사 고랑과 쑥께 등 입산자들이 은신해 있는 산골 마을입니다. 정국은 혼란스럽고, 좌익과 우익 사이에서 마을 사람들은 불안한 나날을 보냅니다.■ 주요 인물장노인: 가문의 대를 잇는 것이 생의 목표인 전통적인 가부장. 아들 윤오의 생사에 집착하며, 딸의 희생도 불사하려는 입장.상월댁: 장노인의 아내. 윤오도 중요하지만 딸 순이 또한 소중하게 여긴다. 가족을 지키기 위해 스스로 아들..
게임 시나리오 작성 요령 게임 시나리오 작성게임 시나리오 작성은 단순한 줄거리 구성과는 다르게, 게임이라는 상호작용적 매체의 특성을 반영한 서사 구성이 필요합니다. 아래는 게임 시나리오를 체계적으로 작성하기 위한 주요 단계와 요소를 정리한 것입니다.1. 기획 개요 구성● 게임의 장르 결정(예: 액션, 어드벤처, 시뮬레이션, RPG, 퍼즐 등)→ 장르에 따라 시나리오의 형식과 톤이 달라집니다.● 세계관 설정배경 시대(과거, 현대, 미래, 판타지 등)주요 사건의 역사적 흐름종족, 국가, 조직 간의 관계● 주제(Theme) 설정복수, 구원, 성장, 자유, 생존 등→ 시나리오 전반의 중심 철학이 됩니다.2. 플롯 구조 설계● 기승전결 또는 3막 구조 사용도입부: 주인공과 세계관 소개갈등 고조: 문제의 발생, 모험의 시작절정: 갈등의 최..
연극 『기계방아 도는 마을』 요약 정리 연극 『기계방아 도는 마을』 요약 정리1960년대 초, 산업화의 물결이 시골 마을에 들어오며 벌어지는 변화와 갈등을 중심으로 한 연극 『기계방아 도는 마을』은 전통적 삶과 새로운 시대의 가치관이 충돌하는 모습을 섬세하게 그려냅니다. 원작은 오유권의 소설이며, 각색은 김병한이 맡았습니다.■ 배경과 시대배경은 전남 영산포 근처 시골 마을로, 산업화 초기 기계화의 상징인 '기계방아'가 도입된 시기입니다. 마을의 여성들은 방앗간 덕에 육체노동에서 벗어났지만, 방아 소리와 먼지, 그리고 자본의 논리가 공동체에 균열을 일으킵니다.■ 주요 인물덕수 (30세): 좌익 활동으로 가산을 탕진하고 생계를 위해 품팔이를 하며 살아가는 인물. 기계방아 주인인 기수네 이모에게 진 빚 때문에 방앗간 일을 도와주게 됩니다.기수네 이..
연극 『새로 난 주막』 요약 정리 연극 『새로 난 주막』 요약 정리1950년대 가난한 민중의 삶을 배경으로 한 연극 『새로 난 주막』은 현실적 고단함 속에서도 관계와 생존을 위해 선택해야 했던, 복잡한 감정의 결들을 섬세하게 풀어낸 작품입니다. 원작은 오유권의 단편소설이며, 각색은 김병한이 맡았습니다.■ 배경과 시대이야기는 1950년대 전남 지역, 성안과 새끼촌을 잇는 들머리고개 주변에서 펼쳐집니다. 전쟁 이후 제대했지만 생계가 막막한 하사관 출신 남자와, 그의 아내, 그리고 아내의 친구이자 과부인 여성이 벌이는 ‘공동체적 생존’의 드라마입니다. 주막이라는 공간을 통해 여성과 남성, 가난과 욕망, 전통과 현실이 교차합니다.■ 주요 인물돈재30대 초반 남성. 중사로 제대했지만 안정된 일자리를 구하지 못해 품팔이를 하며 살고 있다. 현실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