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시나리오와 희곡

오유권 원작, 젊은 홀어미들(제1막)

반응형

젊은 홀어미들(제1막)

원작: 오유권 소설 ‘젊은 홀어미들’

각색: 공노사노 김병한

등장인물

유복자네(26세)
동강댁(24세)
문평댁(24세)
뚝보(박선달네 머슴, 40세)

주요 등장인물 성격

유복자네(26세): 애송이골 세 여인 중 가장 나이가 많은 맏언니이다. 전시에 남편이 같은 날 사망하여 처지가 같은 동강댁, 문평댁과 함께 서로를 위로하면서 산다. 그녀는 유복자 아이와 함께 살면서 가세도 세 사람 중에서 제일 낫다. 언니로서 역할을 잘 수행하는 이해심이 많은 여인으로 나중에 문평댁의 새로운 삶을 도와준다.

 

동강댁(24세): 문평댁보다 생일이 두 달 앞서서 언니 노릇을 한다. 문평댁과 유복자네 사이에서 교량 역할을 하면서 문평댁을 다독이고 위로하기도 하지만 질투도 한다. 동강(전남 나주에 있는 지역)에 친정 가세가 무난해서 문평댁의 부러움을 산다.

 

문평댁(24세): 가장 아랫사람으로 자처하고 항상 언니들에게 다감하게 대하는 말쑤가 많은 성격이 활발하다. 두 홀어미보다 미모를 갖췄다. 친정에 부모가 없고 친척이 좀 있으나 의탁할 처지는 아니다. 남편이 죽은 후 가장 외로움을 많이 타는 여인으로 박선달네 머슴 뚝보에 대한 관심이 많아 적극적으로 뚝보의 관심을 끈다.

 

뚝보(40세): 박선달네 머슴으로 십년 이상 자기 일처럼 선달네 살림과 일을 보살피는 건강하지만 무뚝뚝한 전형적인 시골 일꾼이다. 세 홀어미들과 스스럼 없는 농담을 주고받으며 지낸다. 박선달네로부터 세밑이 되기 전에 세경을 치러 마을을 먼저 떠난다.

1954년 늦가을부터 초겨울까지

장소

영산강 근처 애송이골

무대

유복자네 집을 비롯한 애송이골 여기저기

# 제1막(유복자네 집)

& 유복자네 / 안방

유복자네가 무릎의 아이를 우두커니 내려다보고 있다. 자고 있는 유복자의 볼에 뺨을 가져다 아이의 볼을 문지른다.

문평댁(소리만)

성님 계시요.

유복자네

워이 있네.

문평댁(문을 들어서면서)

작은성님은 아직 안 왔겠소?

유복자네

곧 오겄제.

문평댁(아이가 눈을 뜨자, 아이를 정겹게 보면서)

유복자야아. 잠 많이 잤는가. 응? 잠 많이 잤어?
(아이를 웃기다가)
성님, 애기 자지 큰 것 보씨요예. 쉬 들었겄소. 쉬 시키씨요.

아이를 요강에 앉히는 유복자네. 아이가 벙긋이 웃는다.

문평댁

참, 성님은 이런 유복자라도 있응께 쓰것소만 우리는 남편이라고 만나가지고 씨 한나도 못 받아놔서 어쩌께라우.

유복자네

그렇지만 자네들은 아직도들 나이가 안 어린가.

문평댁

그래도 마음 붙일 곳이 있어야지라우.

유복자네

그럴 것이네.

문평댁(일견 무심한 듯한 빛을 띠고)

그런디 성님. 이 옆에 박 선달네 머심은 탐 오래도 삽디다잉.

유복자네

그 집으로 봐선 그 머심이 보물 아닌가.

문평댁

일도 참 억척스럽게 잘한닥 합디다예.

유복자네

그런다고들 해싸테. 나이는 마흔 살이라고 하데만 아직 일하는 것을 보면 한 서른댓 살배께 안 묵어 보여.

문평댁

머심이 부지런해서 그 집은 참 든든하겄소.

유복자네

그래 장차 머심이 나가게 되면 살림도 좀 덜어준닥 않든가. 자식들도 다 죽고 그 살림을 다 뭣할 것인가.

문평댁

그래라우잉. 그런디 그 머심 양반이 우리들 있는 디는 잘 와라우잉. 오늘 저녁에도 놀로 올란지 모르겄소.

유복자네

그 양반도 혼자 있기가 심심항께 그런 것 아닌가.

동강댁(소리만)

동생은 벌써 왔는가.

문평댁

예. 몬자 왔소. 어서 오씨요.

방으로 들어온 동강댁은 부산히 치맛바람을 일으키며 유복자네를 향해 아이를 보겠다고 나선다.

동강댁

성님. 나, 애기 좀 이리 주씨요.

동강댁이 아이를 받는다.

동강댁

유복자야아, 나하고 걸음마 한번 해보께. 응? 한번 해보세이. 자아…… 걸음마. 걸음마. 에에 우리 유복자 걸음마 잘한다.

문평댁

아따 거 성님, 애기 다리 찢어지겄소. 쌀쌀 좀 걸리씨요.

동강댁

그래도 이 사람아 잘만 걷네.

동강댁이 아이를 불끈 들어 안는다.

동강댁

그런디 성님, 탈상이 낼모레들인디 뭣 가지고들 지사를 모시께라우.

죽은 남편들의 제사가 두 달 밖에 남지 않았다. 남편들이 난리통에 같은 날 사망해서 제삿날이 같다.

유복자네

닥치는 대로 하제 어째. 마을이 커서, 조문 올 손님이 있겄는가? 음식을 만들어도 묵을 사람이 있겄는가?

동강댁

그래도 새비는 못 잡아도 개는 개대로 치드라고… 지삿상에 올릴 것은 다 안 올려야 쓰겄소.

유복자네

밤, 대추나 깎고 떡, 술이나 괴 올리면 쓰제 어째.

문평댁

대체 간단히들 합씨다. 지삿상 걸면 뭣한다우.

동강댁(문평댁을 향해)

그래도 이 사람아. 탈상인디 그래.

유복자네

탈상이고 뭣이고 정성껏들만 해두세. 죽은 혼령이 와서 밥을 묵겄는가? 조문 올 사람이 있어서 술을 묵겄는가?

뚝보(밖에서 소리만)

내가 조문 가서 묵어주께 많씩들 장만해놔.

박선달네 머슴 뚝보가 들어온다. 무뚝뚝하고 멍청하게 보인다고 해서 홀어미들이 부친 별명이다.

홀어미들

뚝보 양반 오시요. 어서 오씨요.

뚝보(문 열고 들어오면서)

밥들 처묵었는가. 이 외짝네들아.(홀로 산다고 해서 ‘외짝네’라고 여인들을 부른다.)

홀어미들은 자리를 비껴 앉고, 뚝보는 아랫목으로 가 덥석 앉는다.

문평댁(비꼬지만 귀엽게)

치이, 뚝보 양반은 외짝 아닌 온짝인께.

뚝보

그래도 내 짝은 아무 데나 있어. 봐, 여그만 해도 벌써 셋이 줄한 것.

유복자네(눈을 가볍게 흘기면서)

움마움마! 저 양반은 웃어운 소리를 다하더라이.

뚝보(빈 곰방대를 방바닥에 톡톡 때리면서)

이 큰외짝네야. 그렇게 흘겨보지 말고 담배나 한 대 내놔.

유복자네

아니, 이빼서 담배 주겄소.

뚝보

이쁘나 미우나 한 대 내놔.

유복자네(시렁에서 새 담배 한 봉을 내리면서)

인, 모개 같은 양반이 코가 노래지도록 담배만 필랑 것이네.

순간, 문평댁과 동강댁은 멈칫 놀래면서 서로 눈빛을 교환한다.

문평댁(빈정대듯 웃으며)

성님은 뚝보 양반이 그렇게도 이쁜 것이요잉.

뚝보

우리 큰외짝이 나를 생각하제 누가 나를 생각할 것인가.

유복자네(볼이 발그레하게 붉어지며 웃음이 가늘게 스치며)

움마움마!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