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시나리오와 희곡/역주행 시나리오

연극 『이역의 산장』 게임 시나리오 개요

반응형

연극 『이역의 산장』 게임 시나리오 개요

연극 『이역의 산장』을 바탕으로 구성한 게임 시나리오 개요입니다. 연극의 서사적 강점을 살리되, 플레이어의 선택과 분기 구조가 가능한 내러티브 어드벤처 게임(서바이벌 리얼리즘 RPG) 장르로 재구성하였습니다.

■ 게임 기본 정보

  • 제목: 이역의 산장(오유권 원작, 공노사노 각색)
  • 장르: 서바이벌 내러티브 RPG(Role-Playing Game) / 멀티 엔딩 스토리 어드벤처
  • 플레이 방식: 1인칭 or 3인칭 시점, 다중 선택지, 분기형 스토리
  • 플랫폼: PC / 콘솔 / 모바일

■ 세계관 설정

  • 배경: 6.25 전쟁 중인 1951~52년 남도 산골 (가상의 국사봉 일대)
  • 상황: 전쟁으로 폐허가 된 시골 마을. 인민군과 국군의 틈바구니, 산으로 들어간 좌익과 피난민들 사이의 갈등과 생존.

■ 주요 테마

  • 전쟁 속 인간성, 선택의 모순, 생존과 윤리의 갈림길, 정(情)의 의미

■ 주요 캐릭터 (플레이어 포함)

인물 성격 및 주요 역할

여인 (플레이어 or NPC) 따뜻한 동정심과 현실적 생존감각을 모두 지닌 40대 여성. 선택에 따라 주체 또는 희생자가 됨.
노인 (NPC 또는 제2플레이어) 과거를 회한하며 사는 월산리 부농. 무기력하지만 정감 있는 인물.
사내 (변수형 NPC) 머슴 출신. 이기적이지만 생존 본능 강함. 플레이어 선택에 따라 협력자 혹은 배신자로 변함.
색시 (변수형 NPC) 살아남기 위한 지혜와 도덕 사이에서 갈등하는 젊은 여성.
흰둥이 (AI 캐릭터) 여인의 곁을 지키는 수캐. 플레이어 선택에 따라 감정 반응 및 경고 기능 작동.

■ 게임 구조 및 시나리오 흐름

▶ 제1막 – 은신

  • 노인이 피난을 와서 여인의 집에 숨는다.
  • 인민군 단속 위기 상황 → 플레이어(여인)의 선택으로 숨겨줄 것인가 말 것인가?
  • 흰둥이의 반응 및 눈치 보기 플레이 (경고음 등)

▶ 제2막 – 공존과 긴장

  • 사내와 색시 등장.
  • 자원(나무, 음식) 관리 미션 시작 → 생존을 위한 역할 분담
  • 플레이어 선택: 누구와 협력할 것인가? 누구를 신뢰할 것인가?
  • 관계도에 따라 로맨스/질투/배신 등의 갈등 요소 활성화

▶ 제3막 – 배신 또는 연대

  • 사내와 색시가 세력 형성. 노인을 내쫓으려는 시도.
  • 플레이어는 중립, 저항, 타협 중 선택
  • 반려견 흰둥이와의 관계에 따라 사건 개입 달라짐
  • 색시의 내면 고백 → 플레이어가 동정할지, 경계할지 선택
  • 멀티 엔딩 분기 발생

■ 주요 시스템 요소

  1. 선택지 기반 분기 시스템
    • 각 장면마다 선택지가 주어지고 누적에 따라 이야기 흐름 변화
    • 5~7개의 주요 엔딩 (생존, 배신, 죽음, 연대, 도주 등)
  2. 관계도 시스템
    • 각 인물별 친밀도/신뢰도 그래프 존재
    • 특정 이벤트 이후 특정 관계도 조건 충족 시 이벤트 활성화
  3. 자원관리
    • 나무, 식량, 은신처 등 제한된 자원 분배 필요
    • 잘못된 분배 → 갈등 발생 또는 누군가의 이탈
  4. 흰둥이 반응 시스템
    • 개의 짖음, 따름, 물러섬 등으로 위기 예고
    • 플레이어 행동에 따라 호감도와 반응 달라짐

■ 핵심 선택 예시

  • 인민군 검문 시, 노인을 숨길 것인가 말 것인가?
  • 색시가 진실을 고백했을 때 용서할 것인가 추방할 것인가?
  • 사내가 노인을 내쫓자 할 때 동의할 것인가 저지할 것인가?
  • 반려견 흰둥이를 희생할 것인가 보호할 것인가?
  • 결국 누구와 함께 살 것인가? 누구를 선택할 것인가?

■ 엔딩 유형 예시

엔딩 유형 예시
엔딩 명 조건 및 결과
생존의 연대 네 명이 역할을 나눠 공동체 구성, 평화 정착
사랑의 선택 여인과 사내/노인 중 한 명만 함께 생존
배신과 죽음 갈등으로 인해 누군가를 희생시키고 고립
회귀와 후회 플레이어가 떠나고 과거를 회상하는 나레이션 엔딩
흰둥이의 충직 모든 인간관계가 무너진 후 개만이 곁을 지키는 결말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