희곡 농지상한선(農地上限線) 요약
원작: 오유권 (문학사상 1982. 1)
각색: 공노사노 김병한
1. 시대적 배경
1950년대부터 1960년대 후반까지의 농지개혁 시기를 다룬 소설로, 농지개혁법과 농지상한제가 시행된 이후 농민과 지주의 삶의 변화를 그린 작품이다.
2. 주요 인물 성격
텃골양반:
부지런하고 성실한 농부.
농지개혁으로 자신의 땅을 가지게 되면서 자부심을 느끼고 자식의 교육을 계획한다.
소작농 신세에서 벗어난 것을 기뻐하면서도 미래에 대한 불안감이 존재한다.
텃골댁:
남편을 성실히 따라 사는 시골 아낙.
농지개혁으로 희망을 품고 정부에 감사함을 느낀다.
윤첨지:
53정보의 땅을 가졌던 지주로, 개혁 이후 3정보만 남기고 나머지는 지가증권으로 보상받는다.
재산과 증권을 이용해 고리대금업과 투자로 재력을 회복하고, 다시 지주로서 권력을 회복하려 한다.
뚜범이와 소룡이:
소작농 출신으로, 농지개혁 이후에도 돈이 부족해 다시 지주에게 의존하게 되는 농민들.
3. 줄거리
제1막: 1950년 봄
농지개혁법 시행으로 소작농들이 자기 땅을 소유하게 되면서 새로운 희망을 품는다.
텃골양반은 땅 소유에 만족하면서 막내 윤봉을 대학에 보낼 꿈을 꾼다.
윤첨지는 땅을 잃고 낙심하지만 지가증권과 재산을 기반으로 고리채업을 시작하여 다시 재기를 꾀한다.
제2막: 5년 후
농민들은 농지상환료를 갚아가며 경제적으로 여전히 고생하지만, 땅을 소유했다는 자부심을 지닌다.
윤첨지는 고리대금업으로 돈을 불리고, 소작농들은 자금 부족으로 다시 윤첨지에게 돈을 빌려야 하는 처지에 놓인다.
농지상한선에 묶인 땅 소유 제한은 지주와 농민 모두에게 양면적인 영향을 준다.
제3막: 1967년
농지법 개정으로 농지상한선이 풀리고 부재지주가 허용되자, 부자들은 다시 땅을 사들이기 시작한다.
윤첨지는 농지매입사무소를 열고 다시 지주로서 영향력을 키우며, 소작농들은 다시 지주의 손에 얽매이게 된다.
텃골양반은 땅을 팔아 일시적 부유함을 얻지만, 미래에 대한 불안과 새로운 소작의 굴레를 걱정한다.
4. 주제 및 상징
1. 농지개혁의 양면성:
농지개혁으로 농민들은 해방감을 얻었지만, 자본 부족과 경작의 어려움으로 다시 지주에게 의존하게 된다.
2. 권력과 재산의 순환:
지주들은 새로운 제도를 통해 재산을 회복하고, 농민들은 또다시 예속된다.
3. 농민의 불안한 미래:
텃골양반은 현재의 해방감과 미래의 불안을 동시에 느끼며, 농지상한제가 병 주고 약 주는 제도임을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5. 결말과 의미
농지상한제 해제로 다시 지주들이 득세하고 농민들은 소작의 굴레에 묶이게 된다.
텃골양반은 땅을 팔고 자식들을 위한 투자를 선택하지만, 미래의 불안함을 떨치지 못한다.
농지개혁이 단기적으로는 농민의 해방을 가져왔으나, 장기적으로는 자본주의 논리에 의해 농민들이 다시 착취의 대상으로 전락하는 현실을 보여준다.
6. 작품의 의의
이 작품은 한국 농업사회 구조의 변화를 농지개혁을 중심으로 사실적으로 그리며, 경제적 불균형과 농촌 사회의 모순을 비판적으로 조명한다. 동시에 농민들의 현실적인 고뇌와 희망을 통해 한국 현대사의 한 단면을 생생히 전달한다.
'시나리오와 희곡'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모노드라마: 농지상한선(農地上限線), 뚜범이 독백 (33) | 2024.12.24 |
---|---|
모노드라마: 농지상한선(農地上限線), 텃골댁의 독백 (37) | 2024.12.23 |
모노드라마: "안경잡이의 독백" (38) | 2024.12.21 |
모노드라마: "이장의 독백" (36) | 2024.12.20 |
모노드라마: "민태의 독백" (37) | 2024.12.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