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주 출신 지역 문학가들의 콘텐츠 소비를 진작시키고 지역 문화 창달로 연결하기 위한 방안입니다. 각 항목은 실행 가능성과 파급력을 고려해 구체적으로 제안드립니다.

1. 문학 자산의 디지털 아카이빙과 온라인 공개
방법: 나주 출신 문학가들의 작품, 인터뷰, 원고, 육필 원고 등을 디지털화하여 온라인 아카이브 구축
활용: 웹사이트·모바일 앱을 통해 누구나 접근 가능하게 하고, 연령대별 큐레이션 콘텐츠(예: ‘청소년을 위한 ○○ 문학’) 제공
장점: 전국 어디서나 소비 가능, 연구 자료로도 활용 가능
2. 지역 문학가 기반 웹소설·웹툰화 프로젝트
방법: 나주 출신 문학가들의 대표 작품을 각색하여 웹소설 또는 웹툰으로 제작
대상: 지역의 웹툰 작가, 청년 창작자, 예술대 학생들과 협업
효과: 젊은 층 유입, 영상화나 게임화 등 2차 콘텐츠로 확장 가능
3. ‘나주 문학 산책’ 테마 관광 콘텐츠 기획
방법: 나주 문학가들의 삶의 흔적(생가, 학교, 작품 배경지 등)을 연결한 문학 관광 코스 운영
연계 행사: 시낭송·낭독극, 문학 걷기 축제, 지역 농산물과의 연계 판매
효과: 체험형 콘텐츠 소비 증가, 지역 경제 활성화 기여
4. 학교·도서관 연계 ‘문학가 읽기’ 교육 프로그램 운영
방법: 초중고 및 지역 독서 동아리에 나주 문학가의 작품을 필독서로 편성하고 낭독회, 독후 활동 진행
강사 구성: 지역 문학 교사, 은퇴 교사, 대학 국문과 학생 등
지원 방안: 지자체 문예기금 또는 교육청 연계
5. ‘1인 미디어’를 통한 문학 콘텐츠 확산
방법: 유튜브, 인스타그램, 블로그 등에서 지역 문학 콘텐츠를 짧고 흥미롭게 재구성
콘텐츠 예시:
“○○ 작가의 생애와 작품, 3분 정리”
“나주 사투리로 읽는 시”
“그 시절, 나주의 문학 청춘들”
참여자: 지역 청년 크리에이터, 시니어 크리에이터와 협업
6. ‘지역문학 상설 전시관’ 및 ‘디지털 체험관’ 설립 추진
전시 구성: 문학가들의 생애, 대표작, 인터뷰 영상, 낭독 음성, 관련 유물
디지털 요소: AI 음성 낭독, VR 문학 여행, 키오스크 기반 추천 콘텐츠
공간 예시: 나주역, 나빌레라문화센터, 읍성 인근 역사문화 공간
7. 지역 문학상 제정 및 문학 축제 개최
문학상: ‘○○ 문학상’ 등을 제정하여 신인 발굴 및 콘텐츠 생산 유도
문학제: 매년 가을 개최, 시민과 청소년의 참여형 행사(백일장, 낭독극, 시화전, 영상공모전 등) 운영
8. 노년 세대와 함께하는 ‘문학 구술 아카이브’ 사업
방법: 나주 원로 문인들과 지역민들의 문학적 삶을 구술로 기록, 정리해 아카이빙
활용: 책, 팟캐스트, 영상 다큐 등으로 콘텐츠화
가치: 지역 기억의 전승, 지역 문학의 뿌리 보존
마무리 제언
나주 문학 콘텐츠 소비를 진작시키려면 ‘지속적이고 입체적인 접근’이 필요합니다. 즉, 문학작품을 단순히 읽히는 데 그치지 않고, 체험하고, 말하고, 연기하고, 기록하고, 공유하는 과정이 더해져야 합니다. 디지털 기술과 지역 자원을 결합하면, 나주의 문학은 다시 살아나 ‘지역 문화의 브랜드’로 성장할 수 있습니다.
'영상 소통' 카테고리의 다른 글
IT 기획자로 생각 전환과 독서토론반 '등대' (4) | 2025.07.12 |
---|---|
‘미디(MIDI)’는 음악과 컴퓨터, 디지털 악기를 연결해주는 중요한 기술 (3) | 2025.06.29 |
틱톡 라이트, 가볍지만 강력한 영상 앱의 등장 (1) | 2025.06.28 |
『시마당』 기획안 (10) | 2025.06.16 |
발성영화 vs 무성영화 (5) | 2025.03.09 |